한국의 환경교육운동사 저자: (사)환경교육센터 / 출판사: 이담북스
ㅣ책소개
『한국의 환경교육운동사』는 환경교육운동이 무엇을 지향하며 어떤 과정을 거쳐 발전해왔는지 그 과정을 통해 어떤 특성을 지니게 되었는지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즉, 환경교육운동이 환경교육이나 환경운동과 어떤 특성을 공유하면서 어떻게 구분되는지 확인하고 있다.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사)환경교육센터에서 틈틈이 작업하던 『한국의 환경교육운동사』가 드디어 나오게 되었습니다.
아름다운재단 변화의시나리오 기록사업을 진행하며 활동가들이 직접 참여하여 만들어낸 책입니다.
이 책으로 한국 시민 환경교육운동가들의 땀이 조금이나마 더 전해지길 기원합니다.
아름다운재단 변화의시나리오 기록사업을 진행하며 활동가들이 직접 참여하여 만들어낸 책입니다.
이 책으로 한국 시민 환경교육운동가들의 땀이 조금이나마 더 전해지길 기원합니다.
목차
1부 들어가며
1장 서론
2부 교육과 운동, 그리고 환경교육운동
2장 교육과 운동의 교차점에서의 환경교육운동
1. 환경교육운동의 위치
2. 환경교육운동의 성격
3장 생애경험을 통해 본 환경교육운동
3부 한국의 환경교육운동사
4장 한국 환경교육운동의 약사(略史): 시기구분과 시기별 특징을 중심으로
1. 환경교육운동의 효시: 1980년 이전
2. 환경교육운동의 모색: 1980년대
3. 환경교육운동의 형성: 1990년대
4. 환경교육운동의 전개: 2000년대
5장 연대기별 주요 활동사Ⅰ : 전국 시민사회단체 교육활동사례를 중심으로
1990년대 초중반 환경운동의 확대재생산, 체험환경교육의 활성화
1. [1991년∼] 생태적 영성과 실천적 삶-의 ‘생태학교’와 ‘생명운동아카데미’
2. [1994년∼] 생태적 감수성으로 환경에 눈뜨다-의 ‘생태기행’
3. [1996년∼] 전국 환경운동가들의 소통과 연대의 장-‘전국환경활동가 워크숍’
4. [1997∼1999년] 지역사회리더가 지속 가능한 미래를 만든다-의 ‘지역사회단체 지도자를 위한 시범환경교육’
5. [1998년∼] 녹색청년들의 자연에서의 일주일-의 ‘청년생태학교’
1990년대 후반∼2000년대 주제의 다양화, 분화에서 통합까지
6. [1999∼2003년] 시화호에 희망의 바람을 불어넣다-의 ‘갈매바람’
7. [1999년∼] 학교 숲이 마을을 만나다-의 ‘학교숲가꾸기’와 ‘모델학교숲’
8. [1999년∼] 차라리 아이를 굶겨라-의 ‘다음을지키는사람들’
9. [2003년∼] 자연이 가장 좋은 교실이다-의 ‘새만금 바닷길 걷기’
10. [2004년∼] 비움을 통한 나눔의 실천, 음식을 생명으로-의 ‘빈그릇 운동’
11. [2004년∼] 생태적 가치를 삶의 모습으로-의 ‘생태문화운동’
12. [2008년∼] 논, 작물생산 공간에서 유기적인 생존 공간으로-의 “논살림”
13. [2008년∼] 이주민 여성과 함께하는 색깔 있는 여행학교-의 ‘이주민브릿지 사업’
2000년대 마을과 공동체 중심의 환경교육
14. [1994-2001년∼] 마을 전체를 배움터로, 마을이 학교다-의 ‘성미산학교’와 ‘성미산지키기운동’
15. [2003-2004-2006-2007년∼] 사람과 두꺼비의 공존을 위한 도전-의 ‘두꺼비친구들’
16. [2003-2005-2008년∼] 환경갈등을 넘어 생명과 평화의 마을공동체로-과
2000년대 중반 이후 연대와 협력으로 한 단계 도약
17. [2005년∼] 여럿이 또 함께-의 ‘환경교육한마당’
18. [2006년∼] NGO-기업 장기 협력으로, 생태복원에서 국제이해까지-과 의 “초원보전생태투어”
19. [2007년∼] 나부터 지역이 함께, 아토피 없는 학교 만들기-의 ‘굿바이 아토피’
6장 연대기별 주요 활동사Ⅱ : 공추련-환경운동연합-환경교육센터 사례를 중심으로
1. [1988년∼] 환경운동가를 양성해낸 ‘배움마당’에서 ‘생태인문강좌’까지
2. [1993년∼] 자연을 닮아가는 아이들, 50기를 넘어선 ‘푸름이 환경캠프’
3. [1997년∼] 동강에서 금강산까지, 15년을 걸어온 ‘푸름이 국토환경대탐사’와 ‘지구촌 공정여행’
4. [1999년∼] 시민을 환경교육가로, ‘시민환경지도자 양성’과 ‘교사 연수’
5. [2000년∼] 가장 가까운 곳에서, 도심형 체험환경교육 ‘찾아가는 환경교실’, ‘궁궐의 우리 나무 알기’, ‘도시인의 문화환경기행’
6. [2001년∼] 가장 이른 시작, 유아-교사-학부모가 함께하는 ‘유아환경교육 지정원 프로그램’
7. [2002년∼] 환경교육운동을 지속시키는 힘, ‘환경교육활동가 워크숍’, ‘사회환경교육 아카데미’
8. [2004년∼] 지역민-NGO-지자체 협력의 성공적 모델을 만든, ‘도봉환경교실’
9. [2005년∼] 연대와 협력을 통해 한 단계 나아가기, ‘환경연합 환경교육네트워크’와 ‘아시아 시민환경교육네트워크’
10. [2006년∼] 관광지를 공평과 나눔의 환경교육의 장으로, ‘남이섬 환경학교’
11. [2007년∼] 전문 교재교구 발행, ‘환경아, 놀자’, ‘지구촌 힘씨’ 외
12. [2008년∼] 과거를 통해 미래를 본다, ‘환경교육운동 아카이브 구축’
13. [2010년∼] 자연소외계층과 함께 나누는 공부방 환경교육
14. [2011년∼] 새와 인간의 공존을 생각하는 환경교육 축제, ‘버듀(탐조교육) 페스티벌’
4부 마치며
7장 결론
참고문헌
부록
(사)환경교육센터 2000∼2012년 주요 활동 요약
1. 교육·양성
가. 유아
나. 어린이·청소년
다. 대학생·성인
라. 가족
마. 시민지도자·활동가·교사
2. 연구·개발
가. 연구·조사
나. 교재교구개발
3. 연대·협력
가. 국내
나. 국외
4. 교육장 운영
가. 남이섬 환경학교(Nami-Ecoschool)
나. 도봉환경교실(Dobong-Ecoclass)
다. 판교생태학습원(Pangyo Eco-Center)
1장 서론
2부 교육과 운동, 그리고 환경교육운동
2장 교육과 운동의 교차점에서의 환경교육운동
1. 환경교육운동의 위치
2. 환경교육운동의 성격
3장 생애경험을 통해 본 환경교육운동
3부 한국의 환경교육운동사
4장 한국 환경교육운동의 약사(略史): 시기구분과 시기별 특징을 중심으로
1. 환경교육운동의 효시: 1980년 이전
2. 환경교육운동의 모색: 1980년대
3. 환경교육운동의 형성: 1990년대
4. 환경교육운동의 전개: 2000년대
5장 연대기별 주요 활동사Ⅰ : 전국 시민사회단체 교육활동사례를 중심으로
1990년대 초중반 환경운동의 확대재생산, 체험환경교육의 활성화
1. [1991년∼] 생태적 영성과 실천적 삶-의 ‘생태학교’와 ‘생명운동아카데미’
2. [1994년∼] 생태적 감수성으로 환경에 눈뜨다-의 ‘생태기행’
3. [1996년∼] 전국 환경운동가들의 소통과 연대의 장-‘전국환경활동가 워크숍’
4. [1997∼1999년] 지역사회리더가 지속 가능한 미래를 만든다-의 ‘지역사회단체 지도자를 위한 시범환경교육’
5. [1998년∼] 녹색청년들의 자연에서의 일주일-의 ‘청년생태학교’
1990년대 후반∼2000년대 주제의 다양화, 분화에서 통합까지
6. [1999∼2003년] 시화호에 희망의 바람을 불어넣다-의 ‘갈매바람’
7. [1999년∼] 학교 숲이 마을을 만나다-의 ‘학교숲가꾸기’와 ‘모델학교숲’
8. [1999년∼] 차라리 아이를 굶겨라-의 ‘다음을지키는사람들’
9. [2003년∼] 자연이 가장 좋은 교실이다-의 ‘새만금 바닷길 걷기’
10. [2004년∼] 비움을 통한 나눔의 실천, 음식을 생명으로-의 ‘빈그릇 운동’
11. [2004년∼] 생태적 가치를 삶의 모습으로-의 ‘생태문화운동’
12. [2008년∼] 논, 작물생산 공간에서 유기적인 생존 공간으로-의 “논살림”
13. [2008년∼] 이주민 여성과 함께하는 색깔 있는 여행학교-의 ‘이주민브릿지 사업’
2000년대 마을과 공동체 중심의 환경교육
14. [1994-2001년∼] 마을 전체를 배움터로, 마을이 학교다-의 ‘성미산학교’와 ‘성미산지키기운동’
15. [2003-2004-2006-2007년∼] 사람과 두꺼비의 공존을 위한 도전-의 ‘두꺼비친구들’
16. [2003-2005-2008년∼] 환경갈등을 넘어 생명과 평화의 마을공동체로-과
2000년대 중반 이후 연대와 협력으로 한 단계 도약
17. [2005년∼] 여럿이 또 함께-의 ‘환경교육한마당’
18. [2006년∼] NGO-기업 장기 협력으로, 생태복원에서 국제이해까지-과 의 “초원보전생태투어”
19. [2007년∼] 나부터 지역이 함께, 아토피 없는 학교 만들기-의 ‘굿바이 아토피’
6장 연대기별 주요 활동사Ⅱ : 공추련-환경운동연합-환경교육센터 사례를 중심으로
1. [1988년∼] 환경운동가를 양성해낸 ‘배움마당’에서 ‘생태인문강좌’까지
2. [1993년∼] 자연을 닮아가는 아이들, 50기를 넘어선 ‘푸름이 환경캠프’
3. [1997년∼] 동강에서 금강산까지, 15년을 걸어온 ‘푸름이 국토환경대탐사’와 ‘지구촌 공정여행’
4. [1999년∼] 시민을 환경교육가로, ‘시민환경지도자 양성’과 ‘교사 연수’
5. [2000년∼] 가장 가까운 곳에서, 도심형 체험환경교육 ‘찾아가는 환경교실’, ‘궁궐의 우리 나무 알기’, ‘도시인의 문화환경기행’
6. [2001년∼] 가장 이른 시작, 유아-교사-학부모가 함께하는 ‘유아환경교육 지정원 프로그램’
7. [2002년∼] 환경교육운동을 지속시키는 힘, ‘환경교육활동가 워크숍’, ‘사회환경교육 아카데미’
8. [2004년∼] 지역민-NGO-지자체 협력의 성공적 모델을 만든, ‘도봉환경교실’
9. [2005년∼] 연대와 협력을 통해 한 단계 나아가기, ‘환경연합 환경교육네트워크’와 ‘아시아 시민환경교육네트워크’
10. [2006년∼] 관광지를 공평과 나눔의 환경교육의 장으로, ‘남이섬 환경학교’
11. [2007년∼] 전문 교재교구 발행, ‘환경아, 놀자’, ‘지구촌 힘씨’ 외
12. [2008년∼] 과거를 통해 미래를 본다, ‘환경교육운동 아카이브 구축’
13. [2010년∼] 자연소외계층과 함께 나누는 공부방 환경교육
14. [2011년∼] 새와 인간의 공존을 생각하는 환경교육 축제, ‘버듀(탐조교육) 페스티벌’
4부 마치며
7장 결론
참고문헌
부록
(사)환경교육센터 2000∼2012년 주요 활동 요약
1. 교육·양성
가. 유아
나. 어린이·청소년
다. 대학생·성인
라. 가족
마. 시민지도자·활동가·교사
2. 연구·개발
가. 연구·조사
나. 교재교구개발
3. 연대·협력
가. 국내
나. 국외
4. 교육장 운영
가. 남이섬 환경학교(Nami-Ecoschool)
나. 도봉환경교실(Dobong-Ecoclass)
다. 판교생태학습원(Pangyo Eco-Cen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