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교육종합계획에 대하여] ② 제1차 환경교육종합계획의 추진 성과와 한계

제1차 환경교육종합계획의 추진 성과와 한계
 
이번 회는 제2차 환경교육종합계획을 수립하고 있는 연구진의 발표자료 (한국환경교육 전문가 포럼. 7월14일)에서 제1차 환경교육종합계획의 추진 성과와 한계 부분을 요약 정리하였다.
 
발표자료에서는 1.제도 및 관리체계 2.주체 간 협력체계 3.환경교육 인력 4.환경교육 사업 및 프로그램 5.대상별 교육으로 나눠서 성과와 한계를 분석하였다.
 
1. 제도 및 관리체계
<성 과>
  ○ 국가환경교육센터가 지정・운영되고(‘15년 현재 2기) 지역환경교육센터 지정 및 운영 가이드라인도 마련되어 6개의 지역환경교육센터 지정・운영
  ○ ‘10년부터 환경교육 프로그램 인증제를 시행하여 프로그램 유형별, 기관 유형별, 지역별 등 다양한 인증 프로그램 정보를 제공하여 사회 환경교육 질적 제고에 기여
  ○ 환경교육포털사이트인 ‘초록지팡이’ 홈페이지에 총 31,583개의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으며, 환경교육 관련 소식 및 주요 사업에 대한 정보 제공
 
<한 계>
  ○ 환경교육센터 지정・운영은 국가환경교육센터의 법인화, 광역환경교육센터 지정・운영, 국가 및 지역 환경교육센터의 역할 정립 등의 과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음
  ○ 질적 제고 목적으로 환경교육 프로그램 인증제가 운영되고 있지만 대중적 공감대 형성 부족, 민간 참여부족, 시행주체 등의 문제점 해소 안 됨
  ○ 환경교육포털사이트는 더 많은 환경교육 사업에 대한 정보 및 콘텐츠 제공, 일반 대중들에 대한 홍보 강화, 학교-사회 환경교육의 연계 강화를 위한 운영 필요
  ○ 제2차 국가환경교육조합계획에서는 지역 차원에서 수립되고 진행되는 다양한 환경교육 사업에 대한 모니터링 및 관리체제를 구축 하도록 가이드라인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지원할 필요가 있음
 
2. 주체 간 협력체계
<성 과>
  ○ 한·중·일 환경교육네트워크(TEEN), 한·중·일 환경장관회의(TEMM)  지속적인 개최 혹은 참여를 통한 환경교육사업의 국제간 공유 및 지원
  ○ 학교와 환경단체 간의 상호 교류 증진을 위하여 ‘14년 민간단체 주도의 학교-민간 연계 환경교육 지원사업을 실시하여 10개 단체를 위탁사업자로 선정, 13개교 학교에 1,619명을 대상으로 학교-민간 연계 환경교육 진행
  ○ 환경부가 지역별 환경교육홍보단을 지방유역관리청 소속으로 운영하여 300명이 환경강사로 임명되어 지역별 환경교육 수요에 대응
 
<한 계>
  ○ 지역 차원에서 환경교육 주체간의 협력체계를 구축할 수 있는 사업의 추진이 필요하며, 사업들 간의 연계와 협력을 통하여 시너지 효과를 낼 필요가 있음
  ○ 학교와 환경단체 간 상호교류 추진 차원에서의 학교-환경단체간 워크샵 운영은 이행이 미흡하였으며, 학교-민간 연계 환경교육 지원사업의 규모는 지속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음
  ○ 환경교육은 그 특성상 교육부, 해양수산부 등 관련 부처와의 협력이 필요한 사업이 많아 관련 부처들과의 협력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방안이 필요
  ○ 지역 차원의 지역환경교육종합계획은 수립되었으나 이행 현황을 점검하거나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체계는 구축되지 않아 이를 위한 방안 마련이 필요
  ○ 공적개발원조 사업이 활성화됨에 따라 개발도상국을 대상으로 환경교육 사업을 지원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환경교육 협력체계 구축 필요
 
3. 환경교육 인력
<성 과>
  ○ 학교장, 교사의 환경교육 인식 제고 및 전문성 향상을 위한 환경교육 연수를 통하여 교원 대상 환경교육을 강화함
  ○ 사회환경교육지도사 양성기관 지정(2개소, ’14년) 및 시범운영을 통하여 사회환경교육지도사 3급 양성 예정(기관당 30명씩 2년간 120명 양성 예정)
 
<한 계>
  ○ 사회환경교육지도사 양성 과정 운영을 시작하였지만 환경교육을 위한 인력의 질적 제고, 사회에서의 활동 보장, 대중적 공감대 형성, 참여 확대 등을 위한 추가적인 방안 마련 시급
  ○ 유아 담당 교사 연수과정의 개발 및 운영은 그 필요성에 비하여 비교적 늦은 시기인 ‘15년 시범적으로 운영되어 추진 성과가 미흡하며, 향후 꾸준한 지원이 필요
  ○ 환경교육홍보단을 통해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환경교육자(환경교육전문가)의 질적 향상을 위한 방안 마련이 필요
 
4. 환경교육 사업 및 프로그램
<성 과>
  ○ 푸름이 이동환경교실 운영을 통하여 동・식물, 물, 공기, 토양, 에너지, 음식, 기후변화 등의 다양한 주제로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높은 교육 효과를 내고 있음
  ○ 환경교육 이동교구상자 운영사업으로 ‘14년 8,521개의 교구를 대여하고 4,376회 교육을 진행하여 총 62,391명을 대상으로 교육・홍보를 완료
  ○ 전국의 9개 자연환경연수원을 활용하여 유아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다양한 주제의 환경교육프로그램 운영
  ○ 환경체험교육 프로그램 정부 지원 확대를 통하여 초・중・고등학교를 비롯하여 환경단체, 국립공원 등 다양한 기관들이 주체가 되어 환경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체험환경교육의 활성화에 기여함
  ○ 매년 16개교를 환경교육시범학교로 지정・운영하여 학교당 연간 1,600만원의 국고보조금과 환경교재 등 관련 자료를 지원하여 학교의 특성에 맞도록 환경교육프로그램 운영
  ○ 환경문화예술 사업을 전국적으로 진행하여 다양한 계층과 연령대의 국민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문화 예술 사업을 통하여 환경에 대한 이해를 높임
 
<한 계>
  ○ 제1차 국가환경교육종합계획 수립 이후 다양한 학교 환경교육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나, 국가 주도로 이루어져 지역으로의 확산에 한계
  ○ 환경교육 사업이 소규모·단편적으로 이루어져 일선 학교나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미흡하며 환경교육의 지속성 유지에 한계
  ○ 환경교육교재 및 콘텐츠 개발・보급 사업은 그 필요성이 매우 큰 사업임에도 불구하고 분산적 사업 추진으로 체계적이고 단계적으로 진행되지 않아 지속적인 노력 필요
  ○ 폐교 활용 환경체험교육장 조성・운영 사업은 연구만 진행되었으며, 본 사업은 실제 이행되지 않아 폐교 활용 환경체험교육장 운영 사업에 대한 추진 여부 검토가 필요
  ○ 유아 환경교재 및 연수과정 개발 과제는 그 추진 성과가 미흡하여,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환경교육 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노력과 지원이 필요
  ○ 푸름이 이동환경교실 운영 사업은 환경교사 인원 확대, 소형 차량 보급 확대, 소외계층 및 도서지역 교육 기회 확대를 강화한 푸름이 이동환경교실 운영 필요
  ○ 환경체험교육 프로그램 정부 지원 사업은 우수 환경교육프로그램 홍보 및 지원, 환경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 제공 확대 등을 통하여 환경체험교육 프로그램 지원 사업을 운영 필요
  ○ 환경문화예술 사업은 문화 행사 진행자, 방송작가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 및 홍보를 통하여 다양한 환경문화예술 사업이 개발될 수 있도록 유도할 필요
  ○ 현재 환경교육을 위해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는 환경교육 사업은 개별적으로 진행되고 있어, 각 사업들 간의 연계를 통하여 시너지 효과를 내고 교육 효과를 높일 필요가 있음
 
5. 대상별 교육
<성 과>
  ○ 푸름이 이동환경교실, 환경교육 이동교구상자 운영, 자연환경연수원 체험환경교육, 환경체험교육 프로그램 정부 지원, 환경교육시범학교 등 대다수의 환경교육 사업이 초・중등 학생들을 대상으로 활발한 사업을 진행
  ○ 환경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소외계층・지역 환경교재 보급사업’과 국가환경교육센터 ‘환경교육 프로그램 지원사업’을 통해 소외계층을 대상으로 환경교육 지원
  ○ 방과후 환경학교 운영으로 소외계층, 저소득층 학생들을 우선 선정하여 학생들의 환경의식 제고 및 학교 환경교육 활성화에 기여
  ○ 유아환경교육관의 지정 확대 운영으로 누리과정과 연계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으로 유아를 대상으로 체험위주의 환경교육을 진행함
  ○ 그린캠퍼스 지정 사업은 기존에 그린캠퍼스에 관심을 갖고 있는 대학들에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지원을 하여 각 대학이 그린캠퍼스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도록 유도
 
<한 계>
  ○ 종교계, 비영리민간단체, 기업의 환경교육 활성화 및 지원사업과 지역 차원의 환경교류 지원은 환경교육 활성화를 위한 사업인데 반해 그 추진이 미흡하여 제2차 국가환경교육종합계획 수립 시 반영될 필요가 있음
  ○ 군부대(예비군)와 교정시설에 대한 환경교육 활성화를 위한 지원 사업은 별도 사업이 없음. 단, 환경교육홍보단 활동의 주요 교육 대상으로 지정되는 등 분산적으로 사업이 진행
  ○ 주부대상 환경교육 사업은 ‘환경교육 프로그램 지원사업’이나 환경교육홍보단 활동의 일부 사업으로 진행되는 등 미흡하게 진행되어 제2차 국가환경교육종합계획 수립에 반영할 필요가 있음
  ○ 비록 소외계층 및 지역에 대한 환경교육 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다른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되고 있어, 관련 사업에 대한 지원을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강화할 필요가 있음
  ○ 유아 환경교재 개발, 유아환경교육관 운영 등 유아를 대상으로 환경교육 강화를 위한 사업의 지속적인 이행 노력이 필요